도커란?
-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 환경 등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여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배포와 관리를 쉽게함
도커 및 워드프레스 설치
- PuTTY를 통해 EC2 인스턴스에 접속
- root에서 도커 설치
sudo yum install -y docker
- 도커 실행
sudo service docker start
- 도커 그룹에 sudo 추가 (인스턴스 접속 후 바로 도커 제어할 수 있도록
sudo usermod -aG docker ec2-user
- 인스턴스 재접속 후 도커 명령어 실행해보기
docker run hello-world
- docker-compose 설치 (최신 버전 v2 이나 편의상 1.29.2 로 진행)
sudo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download/1.29.2/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 권한 설정
sudo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 바로가기 설정
sudo ln -s /usr/local/bin/docker-compose /usr/bin/docker-compose
- 잘 설치 됐는지 버전 확인
docker-compose --version
- docker-compose.yml 파일 생성 후 아래 내용 입력 후 저장 (nano 에디터 활용)
version: "3.7"
services:
db:
image: mysql:5.7
volumes:
- ./db_data:/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123456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USER: wordpress_user
MYSQL_PASSWORD: 123456
app:
depends_on:
- db
image: wordpress:latest
volumes:
- ./app_data:/var/www/html
ports:
- "8080:80"
restart: always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db:3306
WORDPRESS_DB_NAME: wordpress
WORDPRESS_DB_USER: wordpress_user
WORDPRESS_DB_PASSWORD: 123456
- 작성한 내용을 기반으로 워드프레스 설치
sudo docker-compose up -d
- 설치 확인 후 퍼블릭 ip:8080에 접속
=> 사이트 접속 불가
=> AWS 콘솔에서 보안 그룹으로 이동
=> 인바운드 규칙 편집에서 사용자 지정 TCP, 포트 범위 8080으로 새 규칙 추가 후 저장
- 퍼블릭 ip:8080에 재접속 후 워드프레스 설치화면 확인

참조한 블로그
https://jinjinyang.tistory.com/50?category=1011842
Docker Compose를 이용하기
docker-compose.yml 파일을 통해 별도의 도커 명령어를 모르더라도 docker-compose up 명령어를 통해 한번에 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위 그림과 같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있고 워드프레이스
jinjinya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