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일부 JSX 조각을 React Root가 아닌 DOM의 일부분으로 렌더링할 때 사용
- 즉, 렌더링하고 싶은 JSX 조각을, 원하는 위치로 바로 연결되는 '입구' (Portal)를 만들고 싶을 때 사용
예) 팝업이나 모달 등
<div>
<SomeComponent />
{createPortal(children, domNode, key?)}
</div>
📍createPortal API
✅createPortal(children, domNode, key?)
- children : 새로 만들어낼 React 컴포넌트 (JSX 조각, fragment, 문자열, 숫자)
- domNode : 만든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부분. 이미 DOM에 존재하고 있는 곳이어야 함 (DOM API로 찾을 수 있는 곳)
- key (optional) : 포털의 키값으로 사용할 고유 문자열 또는 숫자 (배열을 렌더링할 때와는 다르게 안 써도 무방)
📍자식 컴포넌트이지만, 실제 위치는 react root 바깥으로 보내기
import { createPortal } from 'react-dom';
// ...
<div>
<p>This child is placed in the parent div.</p>
{createPortal(
<p>This child is placed in the document body.</p>,
document.body
)}
</div>
⭐이 때, 포털로 텔레포트 시키는 JSX는,
물리적으로는 React Root 바깥에 위치하지만, 자식 컴포넌트로서 받아야 하는 영향은 잘 받음!
- 부모 컴포넌트의 컨텍스트에 접근 가능
- 부모 컴포넌트의 이벤트 버블링 영향 받음
📍createPortal로 Modal 만들기
- React로 모달을 만드는 경우 비교
- 실제 DOM
📍참고
https://react.dev/reference/react-dom/createPortal
createPortal – React
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
react.d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