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타입 선언과 관련된 세 가지 버전 이해하기
·
🎨 프론트엔드 공부/JS & TS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댄 밴더캄 지음) 를 읽고 정리 📍요약 ✅@types 의존성 관련 3가지 버전 - 개별 라이브러리 버전 - 그 라이브러리들의 @types 버전 - typescript 라이브러리 버전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해당 @types 역시 업데이트해야 함 ✅TS로 작성된 라이브러리 : 타입 선언을 자체적으로 포함 ✅JS로 작성된 라이브러리 : DefinitelyTyped에 타입 선언을 공개하여 커뮤니티 차원에서 유지 보수 📍실제 라이브러리와 타입 모듈의 버전이 다른 경우 예) 타입 선언의 버전이 더 빠른 경우 react@16.8.6 @types/react@16.8.19 => 타입 정보의 버전이 더 빠름 ✅단순히 patch 버전만 다르기 때문에, 타입 선언을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지만..
#45 devDependencies에 TypeScript와 @types 추가하기
·
🎨 프론트엔드 공부/JS & TS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댄 밴더캄 지음) 를 읽고 정리 📍요약 ✅타입스크립트를 시스템 레벨로 설치하면 안된다 (npm 전역 설치 금지) - devDependencies 에 포함하여 팀원 모두가 동일한 버전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types 의존성도 devDependencies 에 포함해야 한다 📍npm은 의존성을 3가지로 구분한다 1. dependencies- 런타임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 프로젝트가 npm에 공개되면, dependencies의 라이브러리들도 함께 설치됨(전이 의존성, transitive dependencies 이라고 함) 2. devDependencies- 현재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테스트하는데 필요하지만, 런타임에는 필요없는 라이브러리들- 주로 테스트 프레임워크들..- 프로젝트가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