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추론 가능한 타입을 사용해 장황한 코드 방지하기
·
🎨 프론트엔드 공부/JS & TS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댄 밴더캄 지음) 를 읽고 정리 📍요약 ✅타입 추론이 가능하다면, 타입 구문을 명시하지 않는게 좋다 ✅가능한 함수 시그니처에는 타입을 명시하고, 실제 함수의 지역 변수에는 타입 구문을 명시하지 않는다 ✅타입 추론이 가능한 경우에도 객체 리터럴과 함수 반환값에는 타입 명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내부 구현의 오류가 사용자 코드 위치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 📍타입 추론의 장점 수동으로 명시해야 하는 타입 구문의 수를 줄여, 코드의 전체적인 안정성 향상 - 따라서 필요한 곳에만 타이핑해야 한다 📍타입 추론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복잡한 객체도 타입 추론 가능 - 타입을 생략해도 된다 const person = { name: 'Sojourner Truth', born: { where: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