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컴포넌트 (5) useState
·
🎨 프론트엔드 공부/React & Next
출처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김민준 지음) 리액트 16.8 이후 부터는 useState 함수를 통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state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Hooks를 사용하게 된다 state의 값을 업데이트 할 때는, state 값에 직접 접근하면 안됨. setState 또는 세터 함수로 값을 변경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바뀐 값이 렌더링 X) (1) useState 사용하기 Say.js 파일을 생성한다 useState로 state 값을 바꿀 때는 useState를 통해 전달받은 세터 함수를 사용한다 // Say.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Say = () => {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
02. 컴포넌트 (4) state
·
🎨 프론트엔드 공부/React & Next
출처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김민준 지음) state와 props 비교 state와 props 모두 컴포넌트에서 사용하거나 렌더링할 데이터를 담고 있지만 역할은 다르다. state :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 (컴포넌트 내부에서 값을 업데이트 가능) props : 컴포넌트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모 컴포넌트가 설정하는 값 (컴포넌트 자신은 해당 props를 읽기 전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리액트에는 2가지 종류의 state가 있다 1.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2.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useState 함수를 통해 사용하는 state (1)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 Counter.js 파일을 생성한다 constructor 메서드를 사용하여 state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굳이 그러지..